(1) Windows 10의 특징
a. OLE (Object Linking and Embedding)
- 다른 앱에서 작성한 개체를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 연결하거나 삽입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
ex) hwp 문서로 작성된 문서를 word에 연결하여 편집
- 연결한 문서는 원본 개체를 수정하면 수정한 내용 반영
b. PnP (Plug&Play)
- 컴퓨터에 새로운 하드웨어(ex. USB)를 추가했을 때 운영체제가 필요한 설정을 해주는 기능
c.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(GUI)
- 키보드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, 그림으로 되어있는 아이콘이나 메뉴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작업을 수행
ex) 바탕화면 아이콘, 바로가기
d. 선점형 멀티태스킹
- 운영체제가 응용프로그램들의 CPU 이용 시간을 제어하는 멀티태스킹
- 응용프로그램에 문제가 발생하면 강제로 종료시키고 모든 시스템 자원을 반환하는 멀티태스킹 방식
ex) 카카오톡, 페이스북을 동시 사용 중 카카오톡에 문제가 생기면 카카오톡을 강제로 종료시키고, 카카오톡 프로그램이 사용하고 있던 자원을 모두 반환시킴
e. 에어로 피크 (Aero Peek)
- 작업 표시줄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아이콘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면 축소 형태의 미리보기가 나타남
- [바탕 화면 보기]를 클릭하면 모든 창이 최소화되면서 바탕 화면이 표시되고, 다시 클릭하면 모든 창이 나타남 (Win + D)
※ 라이브러리 - 파일이나 폴더의 저장된 위치에 상관없이 종류별로 파일을 구성하고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기능 (사진, 비디오라는 라이브러리엔 각각 다른 경로에 있는 사진과 비디오 들이 위치함)
(2) 방화벽
-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패킷은 그대로 통과,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패킷은 엄밀히 체크하여 인증된 패킷만 통과시킴
- 내부로부터의 불법적인 해킹은 막지 못함
- 역추적 기능이 있어, 외부의 침입자를 역추적하여 흔적을 찾을 수 있음
- IP주소 및 포트 번호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인증을 기반으로 접속을 차단하여 네트워크의 출입로를 단일화함으로써 보안 관리 범위를 좁히고 접근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.
- '명백히 허용되지 않은 것은 금지한다'라는 적극적 방어 개념을 가지고 있다.
(3) 휴지통
- 휴지통의 파일이 실제 저장된 위치는 일반적으로 C:\$Recycle.bin
- 휴지통의 용량이 초과한 경우, 가장 오래전에 삭제된 파일부터 삭제
- 휴지통의 파일은 이름을 변경하거나 실행 파일을 실행할 수 없음
- 휴지통을 디스크마다 따로 설정 가능
-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바로 삭제 가능 (Shift + 삭제, 속성 변경, USB 파일)
(4) 디스크 최적화
a. 오류 검사: 오류 검사, 해당 오류 제거
- 하드디스크나 SSD에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손상이 있는지 검사하고, 복구 가능한 에러가 있으면 복구해주는 기능
b. 디스크 정리: 불필요한 파일 삭제
- 디스크가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
c. 드라이브 최적화 및 조각 모음: 단편화 제거, 속도 향상
- 하드디스크의 단편화(조각난 상태)를 제거해 흩어진 조각들을 모은다
- 디스크의 접근 속도를 향상시키고, 디스크의 용량 증가와는 관계가 없다.
- USB와 같은 이동식 저장 장치도 조각화 될 수 있다.
(5) 바로가기 아이콘
- 바로가기 아이콘을 실행하면 연결된 원본파일이 실행 (하나의 아이콘엔 하나의 파일 연결)
- 확장자는 LNK(.lnk)
- 원본 파일을 삭제하면 바로가기 아이콘 실행 불가
- 바로가기 아이콘의 아래엔 화살표 표시가 있음
- 하나의 원본 파일에 여러 개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음
- 파일, 폴더뿐만 아니라 디스크 드라이브나 프린터에도 아이콘을 만들 수 있음
(6) 파일탐색기 - 폴더옵션
a. [일반]
- 같은 창에서 폴더 열기 / 새 창에서 폴더 열기
- 한 번 클릭해서 열기 / 두 번 클릭해서 열기
- 즐겨찾기에 최근에 사용된 파일 및 폴더 표시
b. [보기]
- 표시 여부 관련 (ex. 확장명 숨기기)
c. [검색]
- 검색할 때 색인 사용 여부
'컴퓨터활용능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활 2급] 1.8 인터넷 주소 관련 (2) | 2025.02.13 |
---|---|
[컴활 2급] 1.7 소프트웨어 (1) | 2025.02.13 |
[컴활 2급] 1.5 자료의 표현 (1) | 2025.02.12 |
[컴활 2급] 1.4 운영체제 (2) | 2025.02.11 |